
‘마른비만’의 특징은 팔다리는 가늘지만, 복부(특히 내장)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어 배가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는 것이다.
[사진=Freepik]
흔히 ‘비만’하면 몸집이 크고 체중이 과도하게 나가는 몸 상태를 떠올리게 된다.
실제 체내 지방량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경우 비만이라고 총칭하는데, 겉 보기엔 마른 체형이어도 비만 판정을 받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.
‘마른비만’의 특징은 팔다리는 가늘지만, 복부(특히 내장)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어 배가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는 것이다.
내장지방이 계속 축적되면 고혈압이나 당뇨병, 고지혈증, 심혈관질환 등 각종 합병증을 유발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.
김래영 대자인 한의원(압구정점) 원장은 “내장지방이 늘면 혈액 내 지방이 쌓여 동맥경화를 유발하고,
장기의 기능이 약해져 복부비만이나 고밀도 지방에 의한 혈전 등 각종 성인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”라며
“특히 내장지방의 지방세포는 아디포카인이라는 염증 유발 물질을 분비해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혈당 및 지방 대사를 교란해
당뇨, 심혈관질환, 각종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”고 말했다.
내장지방은 엉덩이나 허벅지, 팔뚝에 쌓이는 피하지방과 달리 복부의 장기 사이 장간막 부분에 축적되어 있어
사실상 피하지방보다 건강에는 더 치명적이다. 내장지방이 쌓이는 이유는 야식, 과식, 과음 등 잘못된 식습관과
불규칙한 생활습관이 주요 원인이며, 스트레스, 호르몬 불균형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.
특히 내장지방이 많이 쌓일수록 여성들의 노화 진행 속도도 빨라지게 되는데, 폐경기 여성의 경우 몸 안에 근육량이
급격히 떨어지면서 체지방량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, 골량 감소로 운동량이 현저히 줄어든다.
내장지방, 효과적으로 없애려면?
따라서 내장지방을 효과적으로 없애려면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해 건강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으로 바꿔나가는 것이 중요하다.
만일 아무리 노력해도 다이어트에 매번 실패하거나 보다 효과적으로 내장지방을 없애고 싶다면 장내 환경부터 개선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.
김래영 대자인 한의원 원장.
김래영 원장은 “체내 독소 중 60% 이상이 지용성 독소인데, 지용성 독소는 지방세포에 많이 함유되어 있어
독소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어트를 하게 되면 효과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장지방이 감소하는 속도도 느려진다”고 말했다.
이어 “이때 장 해독치료를 시행하면 체내에 쌓여있는 독소와 노폐물이 체외로 배출돼 장내 유익균이 활성화하고,
이로 인해 내장비만 개선은 물론 고혈압, 지방간, 아토피 피부 개선에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”고 설명했다.
실제 우리 몸의 면역세포 70%가 장에 존재하며, 장의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면역력도 함께 떨어지게 된다.
특히 장 속에는 우리 몸에 이로운 유익균과 나쁜 작용을 하는 유해균이 공존하는데, 유해균의 수가 유익균의 수보다 많아지면
독소와 노폐물이 쌓여 면역기능이 떨어진다.
유해균 중에서도 피르미쿠트나 엔테로박터균은 섭취한 칼로리를 지방으로 전환하는 특성이 있어
그 수가 많아질수록 비만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.
따라서 장내 유익균을 늘리려면 평소 식이섬유나 프로바이오틱스를 꾸준히 섭취해야 하고,
꾸준한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습관, 균형 잡힌 식단으로 바꿔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.
[시사캐스트]